지역 소멸 위기에 처한 강원도가 일자리 만들기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서, 강원도에 접목할 수 있는 정책이 어떤 것이 있는지 배울 필요가 있는데, 먼저 유럽 소도시에서의 일자리 정책을 살펴 봅니다.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스웨덴은 지역의 이해관계자와 시민사회 주체 및 제 3섹터 사회단체들이 일자리 계획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시민이 일자리 정책을 만드는 주체가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경우 농촌으로 이주하는 도시 청년들을 위해 기존 지역민과 이주자들이 함께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문화와 제도를 만들고, 농촌의 다기능적 정책을 개발합니다. 바로 포용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강원도는 이에 따라 주민이 참여하는 정책을 만드는 것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지역 공동체간의 수평적 협업과 역할 분담이 가능하도록 사회서비스 상생형 일자리 위원회를 구축하는 방안입니다.
읍면 단위로 분과를 운영해 소형 행정단위별로 매년 지역소득개선 방안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일자리 발굴입니다. 이에 지역민 일자리 수요조사를 통한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발굴도 시급합니다.
지역 중간 조직체를 통한 지역 보건과 유아.노인 돌봄 분야 등 지역 복지환경 개선을 위한 일자리 정책도 추진해 볼만 합니다.
<인터뷰>
백영미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강원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일자리 중에 사람 일손이 많이 필요한 분야가 지역 복지 환경 개선이거든요. 예를 들어서 보건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유아나 노인 돌봄 분야의 일자리가 굉장히 부족합니다. 근데 이런 것들을 지역의 중간 조직체를 활용을 해서 일자리를 만들어 간다면 특히나 지역에 있는 여성이라든지 아니면 장년 이상의 그러니까 노노 케어할 수 있는 계층들이 있는데, 이들의 일자리를 만들어줄 수 있는 어떤 환경들을 빠르게 도입할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수요 맞춤형의 어떤 일자리를 만들어야 할 때 지금 가장 필요로 하고 가장 빨리 만들 수 있는 이런 지역 복지 환경 개선을 위한 일자리에 지역 중간 조직을 도입해서 시행을 하면 좋겠다라는 의견입니다.”
무엇보다 청년이 선호하는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중앙 + 강원도 + 18개 시군 + 지역 내 기업 + 지역 청년 위원회 + 시민사회가 함께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도록 지역 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해야 합니다.
시군별로 일자리센터를 통해 현장체험 인턴제와 지역서비스 일자리 발굴 및 매칭, 공공일자리, 창업 육성의 4가지 일자리 프로그램 운영도 바람직합니다.
지역특화 콘텐츠를 활용한 창업가를 육성하고, 이들이 마을을 활성화하는 주체가 되도록 청년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를 운영해 봄도 고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이 참여하는 지역소멸 대응도 좋은 방안 중 하나입니다.
청년조직이 직접 참여하는 지역을 살리는 산업육성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건데, 협력형 제조업, 고부가가치서비스업, 소셜 벤처 등 지속 가능성이 높은 산업 분야에 강원도-시군-대형기업 또는 공기업이 공동 투자하여 청년 창업과 청년 일자리 만들기를 추진하는 것도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자료 도움 : 강원연구원 (백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