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강원도는 인구 정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강원도는 지역맞춤형 인재양성과 청년구직 지원에 나섰는데, 「강원특별자치도 청년 기본 조례」를 개정(’23.12월)해, 청년기준을 18~39세에서 18~45세로 상향하고 2024년 일자리 분야에서 청년구직활동 지원 등 23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미래산업 연계형 인재양성과 지역맞춤형 일자리 매칭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강원도는 정주여건 강화와 지역 참여 활성화에도 나섰습니다.
청년층과 귀촌인에게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주거비를 지원해 지역정착을 유도하고 있는데, 강원청년센터를 통한 청년 참여와 소통 활성화, 농어촌 네트워크 지원을 통한 지역민 지역활성화 사업 참여율도 높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창업도 지원합니다.
G-스타트업 단계별 지원과 로컬벤처기업 및 강원 관광콘텐츠 스타트업 육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청년농업인 육성과 외식창업 공동체 공간 조성 및 창업자금 무이자 대출 사업도 추진합니다.
청년일자리 사업으로 지역혁신형과 상생기반형, 지역 포용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운영합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와 강원일자리 통합플랫폼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청년층 인구 유입을 끌어내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특히 타 지자체와 비교해 보면 일자리 지원사업의 예산규모가 매우 작아 일자리 늘리는 정책을 다양화하기엔 역부족입니다.
18개 시군 예산에 노인복지 대비 청년을 위한 예산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활용되기 매우 어려운 수준입니다.
지역 맞춤형 사업도 적습니다.
전국에서 시행하는 정책과 차별점을 갖는 강원도 특화 일자리 정책이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인터뷰>
백영미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사실상 강원도에 특화된 일자리를 만들려면 주민의 수요 조사를 먼저 시행을 해야 돼요.
특히나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를 만들려면 청년들이 어떤 일자리를 원하고 있는지 이 친구들이 서비스업에서의 일자리를 원하는지 아니면은 고부가가치 it 분야에서 일자리를 원하는지 아니면 제조업에서 일자리를 원하는지 복지 서비스에서 원하는지 이런 기타 등등의 분야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데 그러한 조사가 없이 전국 단위로 시행하는 일자리 정책만 일괄적으로 시행하다 보니까 수요 맞춤형의 어떤 일자리가 전혀 창출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접경지역과 폐광지역 등 인구소멸 위기를 직면한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정책이 부족한데, 지역민과 청년의 의견을 반영한 지역민 수요 맞춤형 정책 시도가 없었다는 점도 아쉬운 대목입니다.
자료 도움: 강원연구원 (백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