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강민주주말 김우진, 강민주
강원자치도의회, 갑질 조례안 두고 '갈등'
2025-05-16
김이곤 기자[ yigon@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갑질 익명신고자 보호 조례를 두고 강원자치도의회에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소관 상임위와 발의한 도의원이 소속된 상임위 간 갈등이 표출된 건데요.
논란이 불거지면서 의장단이 진화에 나섰습니다.
김이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터]
갑질 익명 신고자를 보호 대상에서 제외한 규정을 정비하는 내용이 담긴 조례안.
익명이나 다른 사람 명의로 갑질을 신고해도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박호균 도의원이 발의한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해당 상임위인 기획행정위원회에서 부결됐고,
박 의원은 반발했습니다.
◀전화INT▶ 박호균 / 강원자치도의원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자 함입니다. 하지만 개정 발의한 조례가 해당 상임위원회의 의결 문턱을 넘지 못한 건 공직사회 내 조직 문화의 인식 부족과 실명으로만 신고해야 하는 피해 당사자의 불안함과 두려움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결과라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기행위는 익명으로 신고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악용 우려와 발의한 의원이 심의 중 자리를 비웠다는 등의 이유로 부결했습니다.
부결 이후 박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상임위인 사회문화위원회 명의로 자료를 냈습니다.
주요 내용은 기행위의 반대로 조례안 제정이 무산됐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기행위는 "상임위 위원들이 조례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질의는 당연한 것"이라며, "상임위 논의 중에 이석하는 게 안타깝다"고 밝혔습니다./
상임위 간 갈등 양상으로 번지면서 의장단이 진화에 나섰습니다.
사문위 명의로 만든 자료 배포를 일단 중지시키고, 의회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집니다.
◀클로징▶
"의장단은 내부적으로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현명한 조치라며 기행위와 박 의원을 적극 중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G1뉴스 김이곤입니다."
(영상취재 신현걸 / 디자인 이민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갑질 익명신고자 보호 조례를 두고 강원자치도의회에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소관 상임위와 발의한 도의원이 소속된 상임위 간 갈등이 표출된 건데요.
논란이 불거지면서 의장단이 진화에 나섰습니다.
김이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터]
갑질 익명 신고자를 보호 대상에서 제외한 규정을 정비하는 내용이 담긴 조례안.
익명이나 다른 사람 명의로 갑질을 신고해도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박호균 도의원이 발의한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해당 상임위인 기획행정위원회에서 부결됐고,
박 의원은 반발했습니다.
◀전화INT▶ 박호균 / 강원자치도의원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자 함입니다. 하지만 개정 발의한 조례가 해당 상임위원회의 의결 문턱을 넘지 못한 건 공직사회 내 조직 문화의 인식 부족과 실명으로만 신고해야 하는 피해 당사자의 불안함과 두려움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결과라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기행위는 익명으로 신고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악용 우려와 발의한 의원이 심의 중 자리를 비웠다는 등의 이유로 부결했습니다.
부결 이후 박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상임위인 사회문화위원회 명의로 자료를 냈습니다.
주요 내용은 기행위의 반대로 조례안 제정이 무산됐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기행위는 "상임위 위원들이 조례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질의는 당연한 것"이라며, "상임위 논의 중에 이석하는 게 안타깝다"고 밝혔습니다./
상임위 간 갈등 양상으로 번지면서 의장단이 진화에 나섰습니다.
사문위 명의로 만든 자료 배포를 일단 중지시키고, 의회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집니다.
◀클로징▶
"의장단은 내부적으로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현명한 조치라며 기행위와 박 의원을 적극 중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G1뉴스 김이곤입니다."
(영상취재 신현걸 / 디자인 이민석)
김이곤 기자 yigon@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