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위기의 전세버스, 강원도 지원대책 '전무'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정부가 최근 소득안정자금 지원 대상에 전세버스 기사를 포함시키기로 했지만, 업계 반응은 영 시큰둥합니다.
길어지는 코로나 탓에 매출이 80% 이상 줄어든 상황에서 단기 자금 지원은 별 도움이 안된다면서, 강원도 차원에서 업계를 살릴 수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원석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춘천의 전세버스 차고지입니다.

이맘때면 새학기 현장체험학습이나 봄나들이로 버스대절이 정점을 찍지만,

올해는 5인 이상 집합금지로 매출이 '제로'입니다.

보험금이라도 아껴보려 번호판을 떼고 아예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
"고정비용이 나가는데 그거를 충당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까. 차들은 다 서 있고, 매출은 발생하지 않으니까. 이런 게 가장 심각한 문제죠"

/지난해 도내 전세버스 1대당 매출액은 2,100만 원으로 전년보다 1억 원이 줄었습니다.

대당 2억 원이 넘는 버스 할부금에 몸살 앓는 업체나, / 휴직에 들어간 기사들 모두 고사 직전인 겁니다.

자기 버스를 소유한 기사는 고용안정지원금도 못받아,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고 있습니다.



"상상을 못해, 겉으로 말을 안해도 속사정을 보면 전부 다 빚쟁이들이에요. 주변에도 자기 차 일이 없어서 세워놓고, 다른 데 가서 알바를 하고 그랬어요."



"전세버스 업계가 유례없는 불황을 맞았지만, 강원도 차원의 대책은 전무한 실정입니다."

제주도는 전세버스 1대당 100만 원, 대구는 150만 원씩 지급했고,

충북과 광주 등은 지난해 의무화된 전세버스 블랙박스 설치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강원도는 열악한 재정을 이유로 피해지원대책 하나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원도가 워낙 재정적인 부담을 갖는 게. 여기(전세버스)보다 더 어려운 쪽이 워낙 많았기 때문에 지금 고심 중에 있거든요."

전국전세버스운송사업연합회 강원지부는 도 차원의 전세버스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도청 앞 집단 시위도 불사할 각오라고 밝혔습니다.
G1뉴스 원석진입니다.
원석진 기자 won@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