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강릉 수소폭발 "결국 소송으로.."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지난해 5월 강릉에서 수소 저장 탱크 폭발 사고가 발생한지 벌써 반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현장은 어떻게 됐을까요?

달라진 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피해를 당한 업체들은 폐허로 방치돼 있고, 더 큰 문제는 복구나 보상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피해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참다 못한 피해 기업들은 소송까지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종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수소 저장 탱크 폭발 사고 후 7개월째.

사고 현장 주변 벤처 공장들은 여전히 당시의 처참함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세라믹 제품 생산에 돌입하려던 이 업체는 공장 전체가 폐허로 변했습니다.

발주 받은 건 수포로 돌아갔고, 계약도 줄줄이 취소됐습니다.

공장 재가동은 기약도 없어, 속만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그동안 발주계약 이런 것들도 다 무산이 되고 심지어 투자도 다 실패로 돌아가는 상황인데, 지금 7개월 넘게 아무것도 조치가 진행 안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저희 직원들도 굉장히 힘들어 하고 있고요, 경제적으로 가장 힘든 상황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가 눈덩이 처럼 불고 있습니다.

76개 기업이 입은 직접적인 피해액만 240억원.

영업과 생산 손실분까지 감안하면 총 피해 규모는 5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더 큰 문제는 피해 기업들이 현재 보상 받을 길이 막막하다는 데 있습니다."

누구 하나 보상 주체로 나서지 않고 있는 겁니다.

수소 탱크 시설은 정부 과제 사업으로 조성됐지만, 관련 부처인 산업자원부는 과제 수행기간이 끝난 뒤 발생한 사고여서 책임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강원도도 임시 공장을 마련해 줄 뿐 피해 기업 지원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입니다.

[인터뷰]
"강원도 차원에서 좀 도와준 건 있는데, 저희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아니기때문에 보상 문제는 저희가 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재기 불능 상황에 내몰린 피해 업체들은 결국 민사 소송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대상이 사고 관련 업체가 됐든, 정부기관이 됐든 지리한 싸움이 될 것으로 보여, 피해 기업들이 다시 일어서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걸릴 것으로 우려됩니다.
G1 뉴스 이종우입니다.
이종우 기자 jongdal@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