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코너이미지
기동취재
감춰진 부조리를 샅샅히 파헤져 다함께 바로잡겠습니다.
<기동.2> 가짜 어구 팔아도 지자체는 몰라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G1뉴스는 어제, 한 어구 업체가 당초 약속했던 특허 제품이 아닌 다른 제품을 어민들에게 판매해 왔다는 의혹 전해드렸는데요,

납품된 어구에 또 다른 문제도 불거졌습니다.

해당 업체는 그동안 납품 기준을 벗어난 어구를 보급해 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도운 기자입니다.


[리포터]
강원자치도는 문어 연승용 봉돌이라고 불리는 친환경 어구에 대한 별도의 납품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특허나 실용신안을 받은 제품이어야 하며 유해물질 성분 기준을 통과해야 합니다.

또 친환경을 위해 제품 표면에 광택제나 페인트, 합성수지 등으로 감싸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 어구 납품 업체가 무언가를 칠한 제품을 어민들에게 수년간 납품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네 이거 페인트 칠한거 ○○에서는 이렇게 나오고요. 비철은 이렇게 나오고요. 몇년 됐어요 이렇게 만들어 졌는지는."

해당 업체는 당초 납품하기로 했던 특허 제품과 다른 어구를 납품해 왔다는 의혹도 받고 있는 곳입니다.

지자체는 특허와 친환경 기준 등의 관련 서류와 샘플 정도만 확인하고 있다 보니 이런 문제가 있는지 몰랐다는 입장입니다.

어민에게 어구를 전달하기 전 현장에서도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있지만,

한번에 수백개에서 수천개에 달하는 모든 제품을 일일이 걸러낼 수 없다고 말합니다.



"수백박스를 다 검수할 수는 없고 그중 일부를 검수했을 때 있는 대로 알고 있는데 그 이후에 넘어가면서 바뀐지 안 바뀐지 그거 까지는 사실 저희들이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그 정도의 범위는 넘어갔다고 생각되고.."

어민들은 이미 지난해에 특허 제품의 의문을 제기했지만, 지자체는 해당 업체의 어구에 대한 추가 검증 없이 제품을 그대로 보급했습니다.

어민들은 지자체를 믿고 구매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이건 사업자하고 검사 기관에서 이게 친환경이니 자격이 되는지 안 되는지를 따져서 어민들이 사용하게끔 만들어줘야지.."

이같은 논란과 관련해 해당 업체는 "색칠이 된 어구의 경우 오래전 생산한 제품으로, 문제를 인지한 이후 더 이상 납품한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업체는 이름을 바꾸고 올해도 친환경 어구를 납품하겠다며 수협과 단가계약을 마친 상탭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영상취재/ 원종찬>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