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김우진주말 김우진, 강민주
<집중.2>통합 밖에 없다는데.."설득 관건"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강원자치도는 강원중도개발공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통합 만이 유일한 대책이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도의회나 시민사회단체 쪽에서의 우려는 여전한데요.

강원자치도는 설득과 이해를 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겠단 계획입니다.
이어서 박명원 기자입니다.

[리포터]
사실상 파산을 눈앞에 둔 강원중도개발공사.

지난달 기준 확정된 부채만 860억, 잠재적 부채를 더하면 천억 원이 넘습니다.

여기에 강원자치도가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 2천50억을 더하면 부채가 눈덩이가 됩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윱니다.

강원자치도의 해결책은 강원개발공사와의 통합.

◀브릿지▶
"현 사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라는 입장인데, 도의회 일각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큽니다."

앞서 상임위별 보고회 등을 통해 통합 계획을 보고 받은 도의회도 고민에 빠졌습니다.

통합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어려움을 고려하더라도,

도가 대위변제한 중도개발공사 채무 2천50억 원을 돌려받지 않으면 배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강원개발공사의 부채도 6천억 원이 넘는 등 재정 상황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중도개발공사까지 떠 안는 건 위험 부담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정재웅 강원자치도의원
"행정복합타운 사업과 중도 관광지 개발 사업이 다 빚을 내서 하는 사업입니다. 이게 1조가 훌쩍 넘는 사업인데 이게 정상적으로 토지가 매각되고 분양되지 않으면.."

시민단체는 예견된 결과라는 반응입니다.

최문순 전 지사 시절에 시작된 하중도 개발 자체가 문제였기는 하지만,

민선 8기 도정도 지난 3년 동안 방치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나철성 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
"2022년 김진태 도지사가 직접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도민들에게 확언 했음에도 불구하고 3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진전이 없다가 이제 두 기관을 통합함으로 더 위험천만한 행위까지 이르게 된 부분들에 대해서는 우려가 깊다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에 대해 강원자치도는 대위변제금 탕감에 따른 배임 등 문제는 법적 자문을 충분히 받았고,

강원개발공사의 재정 여력도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며, 통합을 위한 설득과 이해를 계속 구해가겠다는 각옵니다.

[인터뷰] 정광열 강원자치도 경제부지사
"1, 2보 후퇴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결국 중도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 있는 조건이 오히려 갖춰지고 있다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 땅이 제대로 인정을 받고 또 이걸 가지고 그동안 도민들이 투입한 재정 그 이상의 보답을.."

강원자치도의 통합 호소가 도의원들의 마음을 돌리고, 가시지 않는 우려의 시선도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G1뉴스 박명원입니다.
<영상취재 이정석 >
박명원 기자 033@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