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DLP/男>북한 급변‥대북 사업 '속도전'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면서 북한과 인접해 있는 강원도도 분주해졌습니다.

북한의 돌변도 우려되지만, 이런 추세라면 중단됐던 대북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특히 평화특별자치도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성사돼 강원도가 통일에 대비한 평화지대로 조성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홍서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북한이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동계올림픽 참가에 이어 4월 남북, 5월 미북 정상회담이 타결되는 등 최근 북한의 변화는 기대감을 갖기에 충분해 보입니다.

◀stand-up▶
"금강산 관광 재개부터 평화특별자치도까지 다양한 대북 사업을 구상하는 강원도의 움직임이 빨라지는 것도 이런 기대감 때문입니다."

특히 평화특별자치도 실현이 주목됩니다.

/평화특별자치도는 고성 현내면 일대에 남북이 함께 운영하는 평화특구를 만들고, 설악~금강 국제관광자유지대 조성과 철원에 개성과 같은 평화산업단지를 조성하자는 겁니다.

또 동해안 공동 어로구역과 평화의 숲, 태봉국 역사 문화 복원 등 자연과 문화를 공동 개발하는 한편, 북방경제시대 물류도 선점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강원특별자치도는 문재인 대통령이 18대 대선, 19대 대선에서 강원도 지역 공약을 했었던 문제이기 때문에 강원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거죠."

북한의 돌변이 걱정이기는 하지만, 종국적으로는 남북통일에 앞서 남북 강원도를 평화지대로 시범 운영하자는 게 목표입니다.

강원도는 산림 병해충 공동 방제나 연어 부화장 건립 등 바로 할 수 있는 사업부터 재개하면서, 보다 큰 사업을 준비한다는 방침입니다.

[인터뷰]
"평화체제가 만들어지게 되면 이전까지의 교류협력 관계하고 전혀 다른 것 같고,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남북교류에 대해서 다양한 준비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전략적으로 항구적인 협력이 될 수 있는 이런 사업들을 준비해야 되지 않을까‥"

강원도가 구상해 온 대북 사업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미국과 UN의 제재 완화, 정부의 지원 등 아직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습니다.
G1뉴스 홍서표입니다.
홍서표 기자 hsp@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