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강원상품권 예산 도마 위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강원상품권의 효과나 실용성을 두고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강원도가 자립 경제 기반 확립을 위해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상품권 관련 예산을 대폭 반영했습니다.

여)하지만 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려 난항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홍서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강원도의 올해 1차 추경 예산의 최대 관심 중 하나가 강원상품권 확대입니다.

상품권 이용을 활성화해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지역 경제의 기초 체력도 키우자는 게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학원비와 자격증취득비 등 구직 활동에 1인당 30만 원씩 3개월, 구인 기업 특별지원금 최대 50만 원씩 3개월 등 청년 일자리 창출에 300억 원을 신규 책정했습니다.

하지만 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 도의회 반응은 싸늘합니다.



"강원상품권과 청년 일자리를 분리시켜 놓아야 하는데 추경에 이게 같이 연결되니까 포퓰리즘이다.."

청년 실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겠느냐는 우려에서 구매와 환전의 불편함, 사용점 부족 등 지적이 쏟아졌습니다.

또 전액 도비로 충당하는 건 강원도 예산 운영에 부담이 된다는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지급 방법이라든가 사업에 대한 매칭 부분이나 이런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좀 검토를 해야 되겠다.."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은 결국 210억 원을 통과시키는 조건으로, 나머지 90억 원은 시군 매칭으로, 집행 방법은 추후 논의하기로 정리됐습니다.

강원상품권은 지난주 이미 도의회에서 논란이 예고됐습니다.

강원도가 강원상품권 확대 운영 계획의 하나로 제출했던 '강원상품 수출경쟁력 강화 지원예산' 50억 원은 25억 원으로 반토막났고,

노인 일자리 창출 예산 300억 원도 상임위를 통과는 했지만, 매월 추진 상황을 의회에 보고하는 조건이 달렸습니다.

강원도는 상품권 운영 과정에서 답을 찾겠다는 입장입니다.



"매칭 비율의 적용 문제라든지 집행 지급 방법, 절차 뭐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준비해서 5월 의회때 보고 드리고 그 다음에 집행하겠습니다."

올해 강원도가 당초 발행을 계획했던 상품권 규모는 280억원.

여기에 청년과 노인일자리 등 신규로 750억 원을 더 발행하면 전체 규모는 천억 원을 넘을 전망입니다.
G1뉴스 홍서표입니다.
홍서표 기자 hsp@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