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DLP>축제장, 농산물 직거래 '효과'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농산물 직거래는 중간 유통 단계를 없애 농민은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에 안전한 먹거리를 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내의 경우 로컬푸드 직매장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농특산물 직거래 매출액이 천 400억원을 넘어섰는데요.

특히 자치단체 축제장의 농산물 직거래장터가 농민 소득원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도에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터]
지역 180여 농가에서 직접 재배하고 가공한 농특산물 200여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직거래 장터를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축제기간에만 1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누구보다 즐거운 건 농민들입니다.

[인터뷰]
"산천어 축제 전에는 농한기 농민들에게 소득이 없었는데, 산천어 축제를 통해서 농한기 농민들 소득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도내 농특산물 직거래 매출이 천 4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이중 로컬푸드 직매장과 새벽시장, 축제장 직거래장터 매출이 843억원으로, 전년도 692억원보다 150억원 이상 증가했습니다.

◀브릿지▶
"지역 농특산물 직거래 판로가 다양해지면서, 소비자와 생산자 사이에 신뢰와 공감도 함께 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관광객 150만명 돌파를 앞둔 화천 산천어 축제는 물론,

겨울철 이상고온으로 그동안 열지 못한 인제 빙어축제와 홍천강 꽁꽁축제도 개최되면서,

농산물 직거래 매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맞춰, 강원도는 올해 농특산물 직거래 매출 목표를 천 600억원으로 높여 잡았습니다.

[인터뷰]
"각종 축제의 농산물 직판장을 내실있게 운영하고요. 농산물 가공품을 중심으로 홈쇼핑이라든가, 온라인 판매 등 다양한 농산물 직거래 활동을 금년도에 공격적.적극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 로컬푸드 직매장을 늘리고, 서울 등 주요 도시에서 농산물 직거래 행사를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G1뉴스 이청초입니다.
이청초 기자 ccle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