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평일 오후 5시 40분
아나운서 강민주
음식물쓰레기 부정 처리..관리도 소홀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춘천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업체가 음식물쓰레기를 부정 처리했다는 소식 단독으로 전해드렸었는데요.

해당 업체는 춘천시와의 협약을 준수하지 않고, 부정 처리한 쓰레기의 수집 수수료를 징수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상당 기간 이런 문제가 진행됐지만 춘천시의 관리감독은 부실했습니다.
모재성 기자입니다.

[리포터]
춘천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한 업체.

다량배출사업장에서 나온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하지 않는 등 부정하게 처리해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춘천시가 부정 처리로 확인한 규모만 130여 건, 수천만 원 상당.

문제는 또 있었습니다.

부정 처리한 비용인 수집 수수료를 업체 관계자 개인 통장으로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겁니다.

춘천 지역 생활폐기물 운송 근로자로 구성된 노동조합에 이같은 의혹이 지난해 이미 제기됐습니다.

[인터뷰]윤동진 / 클린춘천노동조합 위원장
"2024년 6월경 제보를 받았습니다. 해당 업체의 불법 계근, 직원 개인 수금 등 불법 사실을 확인을 하였고.."

춘천시가 업체와 맺은 협약에는 수집수수료를 투명하게 하기 위한 세부 현황을 비치하고, 징수는 계근량을 근거로 하도록 명시돼 있지만,

일부 사업장에서 월정액 방식으로 수수했다는 의혹도 나왔습니다.

모두 금지 행위입니다.

하지만 춘천시의 관리 감독은 허술했습니다.

지난해 1월 춘천시의회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나서야 변호사 자문 등 검토와 확인이 시작됐습니다.


2024년 6월 춘천시의회
"(14년간 이 회사가 어떻게 수수료에 대한 산정을 했고 징수했고 집행 세부현황 했던 내용 관리 감독했던 내용이 혹시 자료가 남아있습니까?) 현재까지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과거 CCTV 자료 등은 삭제된 상태라 확인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터뷰] 유환규 / 춘천시의원
"(업체는) 20여 년간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독점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춘천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관리 감독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업체 측은 "직원들의 부정행위는 알지 못했다"며,

"관련해서 반환 등 행정 조치 등이 나오면 조치를 받겠다"고 밝혔습니다.

춘천시는 이 업체와 지난 2006년부터 음식물쓰레기처리장 처리 운영 계약을 맺었습니다.
G1뉴스 모재성입니다.

<영상취재 서진형>
모재성 기자 mojs1750@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