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뉴스
  • 방송시간 평일 오전 10시 10분
  • 평    일
    김민곤
의료공백 해결 의사들이 직접 나선다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요즘 영동 북부지역의 의료 공백 문제가 세간의 관심을 끌었는데요.

근본적인 문제는 의료진을 구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대도시 의료진이 의료봉사에 나서 눈길을 끕니다.
김도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인구 천명당 의사수 0.4명.

고성군은 전국에서 의사 수가 가장 적은 의료 취약지역입니다.

이런 열악한 의료 환경 소식을 접한 대도시 의료진이 2년전부터 매주 고성을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성은 의료 취약지역이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보건소와 보건지소를 최대한 활용해 진료 활동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봉사진료의 활성도 중요합니다."

서울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옥진수 교수는 봉사를 위해 주소까지 고성으로 옮겼습니다.

특히 옥 교수는 잠수부인 머구리와 해녀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잠수병 치료인, 고압산소치료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른 질병 조기 발견을 위한 간단한 검사와 상담도 의료진의 몫 입니다.

[인터뷰]
"저희같은 경우에는 서울에나 큰 도시 병원을 갔어야 되는데 거기를 가려고 하면 예약도 해야되고.. 좋은 검진 받게되서 일단 너무나도 감사드리고요."

같은 병원 혈관외과 김장용 교수도 일정이 바쁘지만, 매월 고성을 찾고 있습니다.

지역에서 혈관 전문가도 찾기 힘들어, 김 교수 덕분에 주민들의 혈관 건강도 챙길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
"의료시설의 부재라던지 의료진의 부재는 사실은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인거 같고요. 의료 환경이 낙후돼 있다 말씀을 들어서 한 번 이 지역이 어떤 상황인지도 보고 제가 할 수 있는 게 있는지 한 번 찾아보니까.."

고성군도 의료 공백 최소화에 나섰습니다.

진료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상급진료 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해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앞으로 이런 의료시스템의 전반적인 많은 관계 설정을 통해서 우리 주민들이 조금 더 편안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게 그렇게 시행하고자 합니다."

간헐적으로 이뤄지는 의료봉사가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겠지만,

그나마 뜻있는 의료진 덕분에 취약지역 주민들이 한번 더 건강을 챙길 수 있게 됐습니다.
G1뉴스 김도운 입니다.
김도운 기자 helpkim@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