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강민주주말 김우진, 강민주
다누리아쿠라리움, 아시아 최대 규모 새단장
2025-07-05
김이곤 기자[ yigon@g1tv.co.kr ]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충북 단양의 대표 관광지인 다누리아쿠아리움이 90억 원을 들여 새 단장을 마치고 확장 개관했습니다.
단순한 수족관을 넘어 미디어아트를 접목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네트워크 현장, CJB 김세희 기잡니다.
[리포터]
열대 우림 속을 들어온 듯 드넓은 초원이 펼쳐지고,
그 아래로는 아프리카 강을 본 뜬 대형 수조에서 물고기들이 유유히 헤엄칩니다.
국내에서 보기 드문 '아프리카 돌고래' 모르미리드입니다.
[인터뷰] 최강 / 경기도 화성시
"신기한 것들도 있었어요. 거기에 제가 좋아하는 상어까지. 악어까지. 게다가 뱀도 봤고요. 그게 다 신기했어요."
단양의 대표 관광지, 다누리 아쿠아리움이 대규모 전시관 확장 공사를 마치고 정식 개관했습니다.
지난 2023년 해양수산부 공모 사업에 선정되면서 90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천 5백평 규모로 확장된 단양 아쿠아리움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 거듭났습니다.
열대 사바나부터 온대 기후대까지 다양한 서식 환경을 조형물과 미디어아트를 통해 생생하게 구현했고,
세계 유일의 철갑상어인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와 흰동가리 등 국내외 희귀 어종 백여 종도 새롭게 전시됐습니다.
[인터뷰] 강현영 / 충남 보령시
"아이들이 다른 아쿠아리움이나 이런 것보다는 좀 관심 있게 보는 것 같아요. 물고기들도 우리나라 물고기들은 화려하지 않다라고 생각했는데 색깔들도 화려하고. 또 다른 곳에서 보지 못했던 것들도 보고 하니까 아이들도 되게 관심 있게 보더라고요."
특별한 사냥술과 위장술을 가진 어류와 파충류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의 생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 공간까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직접 보고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관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인터뷰]김철환 / 단양군 아쿠아리움팀
"기존의 아쿠아리움은 정적으로 보던 생물 위주로 그냥 보던 환경에서 특징적이거나 생물들이 어떤 기후에 살아가는지 그런 것들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의 장소로.."
이번 재단장으로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의 보유 생물만 319종, 3만 여마리.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의 도약을 하고 있습니다.
CJB 김세희입니다.
충북 단양의 대표 관광지인 다누리아쿠아리움이 90억 원을 들여 새 단장을 마치고 확장 개관했습니다.
단순한 수족관을 넘어 미디어아트를 접목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네트워크 현장, CJB 김세희 기잡니다.
[리포터]
열대 우림 속을 들어온 듯 드넓은 초원이 펼쳐지고,
그 아래로는 아프리카 강을 본 뜬 대형 수조에서 물고기들이 유유히 헤엄칩니다.
국내에서 보기 드문 '아프리카 돌고래' 모르미리드입니다.
[인터뷰] 최강 / 경기도 화성시
"신기한 것들도 있었어요. 거기에 제가 좋아하는 상어까지. 악어까지. 게다가 뱀도 봤고요. 그게 다 신기했어요."
단양의 대표 관광지, 다누리 아쿠아리움이 대규모 전시관 확장 공사를 마치고 정식 개관했습니다.
지난 2023년 해양수산부 공모 사업에 선정되면서 90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천 5백평 규모로 확장된 단양 아쿠아리움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 거듭났습니다.
열대 사바나부터 온대 기후대까지 다양한 서식 환경을 조형물과 미디어아트를 통해 생생하게 구현했고,
세계 유일의 철갑상어인 '아메리카 주걱철갑상어'와 흰동가리 등 국내외 희귀 어종 백여 종도 새롭게 전시됐습니다.
[인터뷰] 강현영 / 충남 보령시
"아이들이 다른 아쿠아리움이나 이런 것보다는 좀 관심 있게 보는 것 같아요. 물고기들도 우리나라 물고기들은 화려하지 않다라고 생각했는데 색깔들도 화려하고. 또 다른 곳에서 보지 못했던 것들도 보고 하니까 아이들도 되게 관심 있게 보더라고요."
특별한 사냥술과 위장술을 가진 어류와 파충류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의 생태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 공간까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직접 보고 느끼며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관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인터뷰]김철환 / 단양군 아쿠아리움팀
"기존의 아쿠아리움은 정적으로 보던 생물 위주로 그냥 보던 환경에서 특징적이거나 생물들이 어떤 기후에 살아가는지 그런 것들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의 장소로.."
이번 재단장으로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의 보유 생물만 319종, 3만 여마리.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대 규모의 민물고기 생태관으로의 도약을 하고 있습니다.
CJB 김세희입니다.
김이곤 기자 yigon@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