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강민주주말 김우진, 강민주
<특자도10> 강원 전북 제주 세종.."특자도의 상생"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전국에 특별자치도는 모두 4곳 입니다.

가장 먼저 특자도가 된 제주를 비롯해 세종과 강원, 전북 등인데요.

진정한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특자도의 협력이 절실합니다.
박명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터]
강원-제주-세종-전북.

모두 '특별자치'가 들어간 광역지자체입니다.

모두 다양한 특례 권한을 통한 실질적인 지방분권 실현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1월 대한민국특별자치시도 행정협의회를 출범, 지역별 특별법 개정을 위한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특별자치시도 간 적극적 협력을 통해 특별법 개정과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기 위해 섭니다.

강원은 비슷한 시기에 출범한 전북자치도와 별도 협약도 맺었습니다.

◀전화INT▶ 장세길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양도 특별법에만 담겨있는 유사한 특례를 좀 더 효율적이고 지역 발전과 연계시킬 수 있는 추가 개정 작업 등도 공동 연구를 통해서.."

특별자치시도간 협력의 본질은 정치력 강화입니다.

특별법 개정부터 실질적인 권한 이양과 분권을 위해서는 정부 반대를 극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4개 자치도 지역구 국희의원은 모두 '23명'.

각개전투가 아니라 하나의 목소리를 내면 그 만큼 정부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순은 서울대 행정대학원 특임교수
"지역 간의 협력이라든지 조화가 굉장히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앙이 지방을 도와주는 거 외에 한 걸음 앞서 있는 지역이 또 (다른)지역을 도와줄 수 있는 이런 관계를 잘 유지하면서.."

특히 비슷한 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지역 간 협력을 통해 공동 특례 반영 등도 기대됩니다.

[인터뷰] 이원학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기후테크라고 얘기하고 있는 탄소 중립이라든지 푸드테크라든지 이런 분야에서 많은 장점들을 갖고 있는 지역인데요. 이런 장점을 활용해서 정부를 설득 하고 이것들이 지역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공동의 특례 대응 방안을.."

강원자치도를 비롯한 특별자치시도는 조만간 행정협의회 정기회의를 열고,

특별법 개정 지원과 연대를 위한 대응에 나섭니다.
G1뉴스 박명원입니다.
<영상취재 박종현 서진형>

박명원 기자 033@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