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매일 저녁 8시 35분
평일 강민주주말 김우진, 강민주
장애인 권익 강화 시급..기관 확대 필요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장애인 학대 피해 대응과 예방을 위해 활동하는 곳이 있습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인데요.

도내엔 단 한 곳 뿐이어서 장애인들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윤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터]
춘천에 위치한 강원장애인권익옹호기관.

지난 2017년 강원 장애인 학대 피해 대응을 위해 설립됐습니다.

도내에서는 유일한 장애인 권익 관련 기관입니다.

그런데 장애인 권익을 위한 활동에 한계가 있습니다.

7명의 직원 중 실무 담당 직원은 5명.

최근 3년간 발생한 도내 장애인 학대 피해 신고의 경우 2021년 120건, 2022년 125건, 2023년 109건 등으로 연 평균 100건이 넘습니다.

당해 연도에 해결되지 못한 사건이 이듬해로 넘어오는 경우도 많아 실제 직원 1명당 연평균 처리 건수는 30건 이상입니다.

장애인 대상 업무여서 사건 하나당 처리 기간이 최단 6~7개월, 최장 2~3년 걸리기도 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강원도라는 지리적 특성도 보다 많은 업무처리에 장애 요솝니다.

[인터뷰] 조현식 강원장애인권익옹호기관 팀장
"특히 동해나 삼척이나 태백이나 이런 지역에서 학대 신고가 있을 때는 보통 편도 2시간 반에서 3시간 왕복 6시간 이상 걸리는..저희가 이제 신속하게 현장에 갈 수 있는 것도 좀 한계가 있고.."

2023년의 경우 영동지역에서 접수된 장애인 학대 신고는 전체의 15% 정도.

최근 영동지역의 한 장애인시설에서 발생한 학대 피해 조사도 지침상 72시간 내에 조사를 시작해야 하지만, 8일이 지나서야 가능했습니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인력 보강과 확대가 시급한 이윱니다.

[인터뷰] 강정호 강원자치도의원
"우리 도의 특성상 면적이 상당히 넓고 그리고 영동과 영서라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한 곳을 추가해서 운영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장애인 권익 침해에 대한 예방활동과 자체적인 학대 사례 발굴 등은 엄두도 못내는 실정입니다.

◀ S /U ▶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들의 권익 보호와 강화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예산 지원 등이 절실합니다. G1뉴스 김윤지입니다."

<영상취재 서진형 신현걸>
김윤지 기자 yunzy@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