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기획시리즈
<산불.5/DLP> 산불 대응 체계 마련 시급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동해안 산불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 마지막 순섭니다.
이번 산불은 유례없이 큰 피해를 내고, 심지어 도심까지 덮쳤습니다.

산불 피해를 수습하고 복구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이번 사례를 잘 연구해서 더이상 대형 산불이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 정비가 시급합니다.
김도환 기자입니다.


[리포터]
이번 산불이 컸던 이유는 봄철 건조한 날씨와 함께 오는 치명적인 양간지풍입니다.

자연 현상이라 어쩔수 없다지만, 화재 원인은 전기와 부주의입니다.

특히 전기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뿐 아니라 지난 2004년 속초 청대산 산불, 2005년 양양 현남면 산불도 모두 전기 시설에서 발화했습니다.

영동 바닷가에는 발전소가 많고, 이 전력을 내륙으로 옮기기 위한 고압선이 산자락 곳곳을 넘어갑니다.

또 도시가 팽창하면서 도시 시설이 숲과 만나는 면적이 늘고 있어 산불 위험이 높아지고, 피해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인터뷰]
"도시와 산림이 접하는 기회와 면적이 넓어졌어요, 그래서 전기, 가스, 통신 선로 등이 산간 지역을 지나게 됩니다. 이런 시설로 인해서 불이 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산불 피해가 유례 없었던 만큼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한 움직임도 빠릅니다.

오늘 열린 강원 방재포럼에선 산과 마을 사이 충분한 거리를 두고, 가급적 방화수림대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영동 산간 주택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거나 지붕만이라도 내연성 재료를 쓰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됐습니다.

산불의 80%는 헬기가 끈다지만, 강풍에는 소용이 없기 때문에 초기 진화와 확산 방지를 위한 인력 투입 시스템과 장비 확충이 시급합니다.

특히 등짐 펌프 같은 낡고 비효율적인 장비는 개선해야합니다.

[인터뷰]
"등짐에 물을 짊어지고 산에 가서 잔불 정리를 해보면 물 다시 떠와야하는 부담 때문에 심리적으로 쓸 수가 없어요. 결국 그 장비하나가 산불 진화 현장을 더 늦어지게 만들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추경에 산불 대응 예산 940억 원을 세워 특수진화대 인력을 충원하고, 예방진화대의 활동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으며,

헬기와 개인진화장비도 보강할 계획입니다.
G1뉴스 김도환입니다.
김도환 기자 dohwank@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