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기획시리즈
송년 기획 기자 출연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남)네, 그럼 이번에는 취재 기자와 함께 조금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기태 기자,

평창 동계올림픽이 역대 최대 규모로 가장 성공한 동계올림픽으로 남은 건 분명한데요,

역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한반도를 넘어 세계 평화의 신호탄이 되었던 것 아닌가 싶습니다.

기자)네, 그렇습니다.

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평창 동계올림픽이 냉전시대를 종식하고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이끌어낸 건 분명합니다.

동계올림픽 이후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6·12 북미 정상회담까지 이어지면서,

비핵화 추진을 통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열었다는 것만으로도 큰 성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남) 네, 이처럼 평창 올림픽이 남북의 평화 관계를 복원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는데도, 올림픽 후 강원도에 대한 홀대가 여전한 것 같습니다.

경기장을 비롯한 올림픽 시설 사후 활용 문제에 대해서도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데다, 올림픽 유산 사업도 삐걱거리고 있는데요,


기자)네, 도민들 입장에서는 '이럴거면 동계올림픽 뭐하러 치렀냐'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이 당연해 보입니다.

[리포터]
사후활용도 당초에는 정부 차원에서 맡겠다는 것이 방침이었는데, 어느새 유야무야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올림픽 유산으로 활용을 원하는 도민들과는 달리 시설들이 이미 없어졌거나, 없어질 위기인 경우도 많은데요.

개·폐회식장은 대부분 철거되고 성화대만 남아있고요, 바로옆 올림픽플라자 역시, 국기 계양대만 남았습니다.

강원도가 어제, 50억 원을 투입해 동계올림픽 기념관 건립을 위한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한다고 밝혔는데요,

기념관에는 전시와 체험, 영상시설등이 들어설 예정인데, 개최지 주민들의 갈증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습니다.

또, 존치와 복원을 두고 지역주민과 산림청간의 갈등이 심각한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이달 말이면 사용기한이 끝나 전면 복원될 처지입니다.

============================================
남)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 행사와 재단 설립도
풀어야 할 숙제인 것 같은데요?


기자) 네, 우선 동계올림픽 1주년 기념식 장소를 두고 강원도가 강릉으로 추진하면서 평창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재단 설립을 두고도 강원도는 내년 3월까지, 평창군은 내년 10월까지 제각각 추진을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평창의 평화사업재단과 강원도의 올림픽기념재단의 역할과 사업이 상당 부분 겹친다는데 있습니다.

특히, 평창군이 계획한 재단 설립을 위해서는 강원도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이서, 이래저래 평창과 강원도의 마찰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포스트 올림픽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지원도 중요하겠고, 강원도 내부에서도 지자체간 더욱 긴밀한 협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남)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김기태 기자 purekitae@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