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G1 논평> 쓰레기 대란 "남일 아니다"
[앵커]
넘쳐나는 쓰레기로 강원도에도 생활 폐기물 처리가 심상치 않은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쓰레기 매립이 한계에 이르러, 소각로 설치 등 대안 마련이 시급한데 걸림돌도 많습니다.

무엇보다 혐오시설로 여겨지는 쓰레기 처리시설 확보를 위해선 사업추진에 앞서 주민과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G1 논평 들어보시겠습니다.


[리포터]
아파트나 동네 쓰레기 수거장 가보시면 한번은 느끼셨을 겁니다.

쓰레기는 제때 수거되고 있지만 매일매일 산더미처럼 쌓이는 이 많은 쓰레기들, 다 처리 할 수 있을까.

네, 쉽지는 않습니다.
-----------------------------------------

강원도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 양은 천8백톤이 넘습니다.

25톤 덤프 트럭 80대 분량입니다.

그동안 쓰레기는 수거된 뒤 각 시.군 매립장에서 대부분 매립돼 왔습니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의 매립장은 몇 년 뒤면 포화상태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칩니다.

쓰레기 매립장은 매립연한이 차면 또 다른 매립지를 찾아야 하기때문에, 매립 중심의 쓰레기 처리 정책은 이제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특히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강릉시도 쓰레기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강릉 광역쓰레기 매립장은 매립용량이 220만 제곱미터가 넘지만, 급증하는 쓰레기양으로 인해 길어야 7년밖에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처리 대책을 찾아야 하는데, 비단 강릉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다른 시.군들도 쓰레기 처리 능력이 여유치 않지만 매립지 신설은 거의 불가능한 상탭니다.

때문에 해법으로 떠 오른 것이 소각하는 방안입니다.

정부도 쓰레기 처리 정책을 매립에서 소각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소각시설 설치에 국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도내 일부 시.군도 폐기물 소각시설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 사업추진이 쉽지많은 않습니다.

소각로 설치는 수백억원의 예산이 필요한데, 지자체로서는 재정에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 쓰레기 소각로 설치에 국비 지원을 최대치로 받기 위해선 인접 자치단체와 공유하는 광역 소각로 이어야 합니다.

강릉시가 동해시와 삼척시, 그리고 평창군의 쓰레기까지 수용하는 광역소각장을 조성 하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섭니다.

관건은 주민과의 소통입니다.

밀어붙이기식 행정 보다는 주민들에게 사업 타당성과 명분을 충분히 설명해 주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인센티브도 고려해야 합니다.

-------------------------------------

이와 함께 생활 폐기물 처리 문제는 시민들의 동참 여부도 중요합니다.

재활용을 통해 쓰레기 양을 줄이고, 무작정 버리는 것보다 아껴쓰고 다시쓰는 자원재생 문화에 적극 참여해야겠습니다.

일부 시군에서 주민들이 중심이 돼 쓰레기 제로화 운동을 벌이는 것도 쓰레기 처리 문제 해결이 어둡지는 않다는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G1 논평이었습니다.
이종우 기자 jongdal@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