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G1 8 뉴스
  • 방송시간 매일 저녁 8시 35분
  • 평    일
    김우진
  • 주    말
    김우진, 김민곤, 강민주
<G1논평>"올림픽 이후 대비할 때"
키보드 단축키 안내
[앵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습니다.

지난 9일엔 올림픽 개최 1년을 앞두고 빙상경기장이 있는 강릉에서 대대적인 기념행사가 열려, 올림픽 열기도 점차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올림픽 문화예술행사도 잇따라 열리고, 테스트 이벤트는 실전같은 분위기로 치러지면서, 성공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남은 1년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숨가쁘게 달려가야 하는데, 이제부터는 대회 이후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리포터]
지난 1998년 아시아에서 처음 치러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약 5조원의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올림픽 준비를 위해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대회 준비는 거의 빚으로 충당했는데,

17년이 지난 지금도 그 빚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비교적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은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역시 5조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제 올림픽 재정 문제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당장 1년 후에 올림픽 10여개 경기장을 운영하는데, 해마다 120억원이 넘는 재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는 물론이고 국가는 국가대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할 경기장 운영 문제를 두고 강원도와 올림픽 시.군, 그리고 정부가 서로 떠 넘기는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올림픽 준비에 집중하다 보니 사실 그동안 올림픽 시설 사후활용에 대해 누가 운영주체이고, 예산 부담은 어디서 할 지 구체적 논의를 할 여력이 없었습니다.

그나마 최근 올림픽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경기장과 개.폐회식장을 비롯한 올림픽 시설 사후활용 문제를 논의할 태스크포스 팀을 구성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정부도 올림픽 전에 사후활용 문제를 풀겠다는 의지로 풀이되는데, 문체부를 중심으로 강원도와 개최 시.군인 강릉과 평창, 정선이 이제라도 머리를 맞대고 충분한 협의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

올림픽이 목전에 다가오면서 성공개최를 위해 사후활용 문제는 나중에 논의하자, 또는 탄핵정국으로 나라가 혼란스러우니 좀 더 미루자는 분위기에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늦었습니다.

올림픽이 임박할 수록 대회에 촛점이 맞춰지다보면, 올림픽 이후에 대한 대비책 마련은 물건너갈 수도 있습니다.

강원도와 개최 시.군들은 이제 정부를 상대로 사활을 건 담판이 필요합니다.
G1 논평이었습니다.
이종우 기자 jongdal@g1tv.co.kr
Copyright ⓒ G1방송.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